LED 조명, 3D 센싱 핸드폰 카메라 모듈 ToF 적외선 빅셀(VCSEL) 광속/배광 측정 적분구 / 배광시험 / 분광분석 및 LIV 측정장비 전문업체 주)제이앤씨테크
▣ 열저항 측정기
대기업에서 검증된 최상의 기술력 및 측정 정확도 제공
LED Thermal Analysis
■ Junction Temperature(접합부 온도)
■ Thermal Resistance(열저항)
■ Allowable Current(허용전류)
■ Thermal structure analysis(열구조 분석)
■ 광속, 색온도, 연색성 (광학적, 전기적 특성평가)
고 휘도 LED의 연구 개발은 발광 특성을 높이기 위한 칩 자체의 개발, 고 효율과 내구성의 향상을 위한 패키지 재료 개발, 광량과 그 지향성 향상을 위한 기하 광학적 디자인 설계 그리고 패키지 디자인 설계외에도 열적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방열설계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. 이 중에서 LED의 효율과 수명에 직결되는 항목이 발열에 관련된 것인데 그 LED의 열구조 분석은 소자온도 직접제어방식과 주변온도 제어방식으로 나뉘게 된다.
본 설비는 온도조절수단 내부에 샘플을 장착하고 이에 대한 열특성 변화(열저항, K factor, 허용전류)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단일 소자의 경우에는 TE를 통한 직접제어가 가능하나 어레이나 모듈상태로 조립이 되면 특성평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. 따라서 조명 모듈을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한 적분구 내부에 장착하고 평가를 하게 될 경우 두 종류의 샘플을 모두 평가할 수가 있다. 후자의 경우 대류에 의한 열전도(Convection heat transfer)와 접촉에 의한 열전도(Conduction Heat Transfer)의 영향을 모두 감안한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열특성과 함께 광속, 색온도, 연색성과 같은 분광특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
구동 프로그램
Allowable Current Main Window
Other Types of TAS Series
일반적으로 LED 는 단품으로 사용되지 않고 어
레이나 모듈의 형태로 사용이 되는데 단품의
열 특성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방열구조가 제
대로 구성되지 않으면 그 출력에 상당한 영향
을 받게 된다. 본 설비는 이와 같은 조립상태
에서 열특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.
■ LED 어레이/모듈 측정에 최적화
■ 별도의 샘플지그 불필요
■ 간편열특성 측정가능
■ LED 조명 전기광학 측정장비
광원 및 광학 평가장비 전문 개발업체, LED 조명, 빅셀(VCSEL) 광원 특성 평가장비, LIV, 적분구, 배광시험, 온도 특성 측정, 빅셀 펄스 구동 드라이버 SMU 등 제조, Near / Far Field 측정서비스 전문업체